한국 천주교의 체질 변화 1980년대에 한국 천주교의 교세가 큰 폭으로 증가한 적이 있었다. 1974년에 신자 수가 1백만 명을 약간 넘는 정도였는데, 1986년에 2백만 명을 훌쩍 넘어 2배가량 증가하였던 것이다. 여기…
과거와 다른 저항운동과 당황하는 군부 2021년 2월 1일 군부 쿠데타가 미얀마 역사에서 또 다시 발생했다. 오늘로써 시민저항 49일째, 마얀마 현지 언론에 따르면 쿠데타 49일 동안 군대와 경찰에 의해 민간인 사망 272명, 체포와 구금…
제가 일하는 이주노동자센터(김포 이웃살이)에 단기 쉼터가 있습니다. 저희 쉼터에는 산업재해(이하 산재)나 병원 진료 혹은 공장 이직 상황에 잠잘 곳이 여의치 않은 분들이 오십니다. 요즘은 8명 정도의 이주 노동자들이 지내고 있습니다. 며칠 전에 저는 무릎…
60여년의 군부통치와 세 번의 쿠데타 속에서 미얀마 시민들의 저항은 어떤 모습으로 변모했는지 얘기한 지난 번 편에 이어 이번에는 군부의 어처구니없고 전근대적인 행태들에 대해서 얘기해 보고자 한다. 반세기 넘게 …
많은 사람들이 잘 사는 나라가 선진국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경제성장’은 아직도 우리 사회의 지상과제인 듯하다. 작년부터 시작된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많은 나라의 경제활동을 비롯한 일상생활이 제한되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방역에 …
[모든 형제들 TMI] “제1장 닫힌 세상의 그림자” 편 왜 교황님들의 문헌들은 어려운 것일까 여러분들은 어떠신지 모르겠지만 저는 교황님의 회칙이나 교서들이 쉽게 읽히지 않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이 쓰신 글들이 손…
미얀마 쿠데타의 배경 2021년 2월 1일 아침 미얀마 전국에 있는 온 국민이 혼란에 빠졌다. 갑자기 통신이 끊기고 TV를 볼 수 없었다. 미얀마 국민은 잠깐의 먹통이겠지 했는데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미얀마 커뮤니티에서는 외신을 통해 쿠데타를 감지했고,…
1. 르완다 학살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까지 가는 길은 멀었다. 1974년 스위스 로잔에서 열렸던 로잔세계복음화대회가 1989년 필리핀 마닐라에 이어서 21년 만에 2010년 케이프타운에서 …
-재한 미얀마청년연대 ‘헤이 만 흐닌’(왼쪽), ‘웨 노에 흐닌 쏘’(오른쪽) 인터뷰- 2021년 2월 1일, 미얀마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켰다. 미얀마 시민들은 즉각 저항에 나섰다. 군부는 시민들을 향해 총을 겨누었고, 3월 4일 …